해외주식 외화세금환급, 배당세금환급 쉬운정리
최근 해외주식 투자 중 '외화세금환급'을 받았는데,
그와 동시에 세금이 거의 대부분 빠져나가는 상황을 경험했습니다.
처음 겪어보는일이기에 조금 공부해 보았습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한국과 미국은 배당에관한 세금을 높은쪽을 부과하게 됩니다.
미국 배당에서는 비과세로 빠졌더라도 한국에서는 과세대상이라면 해당 부분은 과세하게 됩니다.
한국과 미국의 과세비율은 거의 비슷하니, 달러로 비과세항목을 환급받고 원화로 한국에 과세를 하게되니 조금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환율, 수수료 등)
한국의 세금이 조금 낮다보니, 거의 차이가 없다고 보면된다.
ROC(Return of Capital)란?
ROC(자본 환급)는 투자 수익이 아니라, 투자 원금의 일부를 돌려주는 것이다.
- 일반 배당: 기업의 이익을 주주에게 지급
- ROC: 투자 원금 중 일부를 주주에게 환급
ROC는 원칙적으로 과세 대상이 아니지만, 미국에서는 일단 배당처럼 세금을 15% 원천징수하고, 나중에 정산하면서 "이건 ROC였네?" 하며 일부를 돌려준다.
이게 바로 외화세금환급이다.
한국 세법에서는 미국이 돌려준 ROC 금액도 "새로운 소득"으로 간주한다.
즉, 미국에서는 세금 돌려받았지만,한국에서는 새롭게 번 돈으로 보고 세금을 부과한다.
"ROC 환급은 미국에선 환급이지만, 한국에선 과세 대상이다."
해외주식 투자 시 발생하는 ROC 환급은
미국에서는 세금 환급이지만, 한국에서는 과세 대상으로 재부과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거의 다 세금으로 빠진다" 라는 사실을 알고 있어야 하고,
큰 금액이라면 종합소득세 신고를 통해 세액공제 등을 검토할 수 있다.
https://blog.naver.com/rudtn668/223849160700
해외주식 ETF 투자, 외화세금환급 쉬운 정리
최근 해외주식 투자 중 '외화세금환급'을 받았는데, 그와 동시에 세금이 거의 대부분 빠져나가는...
blog.naver.com